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0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시기는 현존하는 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으나 고려 공민왕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1562년(명종 17) 경주 부윤 이정(李楨)이 고려 때 문묘를 지은 터에 다시 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리고 후에 이춘복(李春馥) 등이 상소하여 1728년(영조 4)에 이건하였다. 1900년에 대성전을 짓고 1924년에 명륜당, 1926년에 다시 대성전을 중수하였다. 건물은 대성전, 명륜당, 모성루, 동재(측면 3칸, 측면 1칸), 내삼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남향한 경사면을 3단으로 층을 이루어 아래로부터 외삼문과 우측에 동·서재를 두고 정면에 명륜당을 두었으며, 그 뒤쪽에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내삼문을 설치하였다. 대성전 왼쪽에는 서무가, 대성전 뒤로는 화계(花階)가 있다.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여 행 등 산 편 > 경상·북도 여행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여행) - 원모재 - 경북문화재자료 제232호 (0) | 2020.10.02 |
---|---|
(경산여행) - 갓바위(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에 오르다 (0) | 2020.07.07 |
(경산여행) - 자인 능소화 (0) | 2020.06.30 |
(경산여행) - 남천의 수달 (0) | 2020.06.07 |
(경산여행) - 남천과 욱수천의 왜가리와 오리 (0) | 202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