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산을 겨울에 오르다 만항재를 출발하여 함백산 정상-2쉼터-적조암 입구-정암사 까지 약 7km의 눈 쌓인 산길을 다녀오다 함백산은 해발 1,573m의 강원 동부의 최고봉으로 정상에서 태백산, 백운산 등 지역 전체와 동해일출 전망이 가능하다. 산행 시점은 두문동재와 만항재, 적조암 입구 3곳이다, 겨울철 산행의 .. 여 행 등 산 편/강원·제주 여행방 2012.01.11
겨울 산행에 필요한 장비 ♣ 겨울 산행에 필요한 장비 ♣ ▲ 모자, 발라클라바 머리는 신체에서 가장 많이 열을 빼앗기는 부위이다 귀를 덮는 모자는 체온을 유지한다 눈만 빼고 머리를 덮는 발라클라바를 권한다 ▲ 스패츠 바지 말단과 등산화 사이로 눈이 들어가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을 막는다 ▲ 스틱 .. 여 행 등 산 편/여행·등산 정보방 2012.01.09
[스크랩] 등산화와 배낭 등산학교 명강사의 족집게 강좌 - 박준규] 등산화와 배낭 처음 산에 갈 때 가장 필요한 장비는 등산화다. 등산은 걷는 것이고 걷는 데 신발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럼 초보자는 어떤 등산화를 사야 잘 샀다는 소릴 들을까? 등산화라 하면 으레 발목까지 목이 올라온 모양의 .. 여 행 등 산 편/여행·등산 정보방 2012.01.04
겨울의 망우당공원과 영남제일관 망우당공원(忘憂堂公園)은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공원이다. 대구의 동쪽 관문에 자리잡고 있다. 임진왜란 때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키며 큰 전공을 세운 곽재우 장군의 호로 공원명을 지었다 또한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 大邱邑城南門)은 조선시대(1591년)에 축조된 .. 여 행 등 산 편/대구·달성 여행방 2011.12.30
황홀한 안압지의 야경 안압지는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연못으로 신라 왕궁의 후원(後園)으로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674년(문무왕 14)에 완성되었다. 1975~86년의 발굴조사에 의해 유구가 밝혀졌는데 연못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호안(石築護岸)과 서쪽 호안변에서 5개의 건물.. 여 행 등 산 편/경상·북도 여행방 2011.12.13
감포여행(문무대왕릉,이견대 그리고 갈매기) (문무대왕릉) 사적 제158호.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자신이 죽으면 불교식으로 화장한 뒤 유골을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유언을 남겼다. 681년 문무왕이 죽자 유언에 따라 화장한 유골을 동해의 큰 바위에 장사지내고, 그 바위를 대왕암(大王巖)이라고 .. 여 행 등 산 편/경상·북도 여행방 2011.12.13
흐린 오후의 감은사지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동해안에서 약 300m 정도 내륙에 있는 감은사지(感恩寺址)는 신라의 감은사가 있던 자리로 건물은 모두 없어지고 커다란 삼층석탑 두 기만이 남아 있습니다.감은사는 삼국통일을 달성한 문무왕이 불력의 힘을 빌어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짓기 시작하였으나 완공을 .. 여 행 등 산 편/경상·북도 여행방 2011.12.13
골굴사에 다시 가다 경주 함월산 기슭에 자리 잡은 골굴사는 불교 전통수련법인 선무도(禪武道)의 본산으로, 삼국을 통일한 신라 화랑들이 호연지기를 길렀던 신비한 석굴사원이다 라한굴 여 행 등 산 편/경상·북도 여행방 2011.12.13
토함산에 오르다(2011.12.12) 토함산은 호국의 진산으로 예로부터 신성시 되어온 산이다. 신라의 영산으로 일명 동악이라 불리었으며, 서악 선도산, 남악 금오산, 북악 금강산, 중악 남산과 더불어 신라 5악이다. 신라의 4대 임금인 석탈해왕이 죽은 후 동악의 산이 되었다고 한다. 석탈해왕은 토해왕이라고도 했는데 .. 여 행 등 산 편/경상·북도 여행방 201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