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상 생 활 편/생 활 정 보 방

[김순동의 발효이야기] 간 기능 증진 효과가 있는 물김치

무철 양재완 2021. 7. 20. 22:46

[김순동의 발효이야기] 간 기능 증진 효과가 있는 물김치

매일신문 배포 2021-07-16 14:00:00 | 수정 2021-07-15 14:02:01

나박물김치

김치를 보면 한때 나박 물김치에 끌려 자주 들렸던 주막집이 떠오른다. 그 집은 일주일 내내 손님들로 북적거린다. 술과 안주를 주문하면 덤으로 나박 물김치 한 사발이 따라 나왔다. 사람들은 "맛이 일품이다."며 찬사를 보냈다. 감산미 (甘酸味)와 짜릿하고 시원한 맛이 짠맛과 잘 어우러져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을 느낀다.

하루 동안 판매할 몇 드럼의 양이 소진되면 그날은 문을 닫았다. 주인은 그날 판매할 물량이 남으면 신맛이 강하고 국물이 탁해져 버릴 때도 있다는 어려움을 토로했으나 물김치 하나로 크게 성공한 사례로 기억한다.

물김치는 적당한 크기로 자른 무나 배추, 열무, 시금치, 청각, 갓, 돌나물 등을 각각 섞어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엷게 썬 풋고추, 홍고추, 마늘, 양파, 생강, 오이 등과 송송 썬 실파나 미나리, 부추 등을 부재료로 사용하며 가끔은 인삼 같은 약재를 엷게 썰어 넣기도 한다. 이들 재료는 소금을 엷게 뿌려 잠시 절여낸 후 쌀가루나 밀가루를 묽게 푼 후 끓여 식힌 소금물을 부어 두면 재료에 부착되어 있던 젖산균이 세포로부터 솟아져 나온 당분과 비타민, 아미노산 같은 영양분으로 발효를 일으켜 새콤한 물김치가 된다.

그리고는 물김치 앞에 주재료 또는 특이하게 사용한 재료명이나 지역명을 부쳐 시금치 물김치. 인삼 오이 물김치, 경상도 통배추 물김치 등으로 부른다. 동일한 재료인 경우는 썬 모양에 따라 부르기도 한다. 나박 물김치는 주재료인 무를 얄팍하고 네모나게 썬 모양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나박물김치

 

연탄가스에 중독되었을 때나 과음한 후 물김치 한 사발을 마시고는 거뜬하게 일어섰던 옛 기억을 떠올리며 물김치에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시도를 했다. 맛과 보존성이 좋으면서 숙취 해소나 음주로 인한 간 손상 예방효과가 있는 재료를 찾는 데 힘썼다. 마침 키토산을 연구하는 동료를 만나면서 이 연구는 신속하게 진행됐다. 키토산은 게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의 껍질에 함유된 키틴을 분리한 후 산성용액이나 효소로 탈 아세틸화한 물질로 지금은 시중에서 쉽게 살 수 있다.

고지방식이 흰쥐의 간 조직에 미치는 나박 물김치 급여효과.정상식이군,고지방식이+ 물 급여군,고지방식이+ 물김치 급여군(왼쪽부터)

 

고분자로 된 비수용성 물질로 식초 같은 산(酸)에 잘 녹는다. 우리는 키토산을 비타민 C에 녹여 만든 키토산 아스코베이트 (chitosan­ascorbate: CA)를 처음으로 만들어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했다. 특이하게도 CA는 키토산 자체보다 항균력과 항산화성이 현저하게 높았다. 많이 쓰면 떫은맛이 강한 단점이 있었으나 나박 물김치에 적용해 보기로 했다.

무 (500g)는 가로세로 1.5cm 크기로 엷게 썰고, 배추 (870g)도 유사한 크기로 썬 후 재료 무게에 대하여 2% 되게 소금을 뿌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절였다. 씨를 뺀 홍고추 (20g)와 양파 (30g)는 어슷어슷 썰고, 생강 (30g)과 마늘 (50g)은 2mm 두께로 썰어 용기에 담았다. 그리고는 키토산 (2g)과 비타민 C (10g)를 녹인 2% 소금물 5 L을 부어 20℃에서 2일간 발효시켰다 (이하 CA 물김치).

CA 물김치는 10℃에 두면서 30일간 품질을 평가하였고, 7일간 발효한 것으로 동물실험을 행했다. 10일이 지나자 CA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무 조직이 물러졌으며, 국물도 뿌옇게 탁해졌고 신맛이 강했다. 하지만 CA 물김치는 국물이 맑고 사각사각한 맛을 띠며, 10℃에서의 보존 기간이 15일이나 연장되었으며 떫은맛은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국물에 녹아 있는 글루코사민 (glucosamine)의 함량은 3배나 높았다. 또, 체내에서 과산화 이온의 독성을 경감하는 SOD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200배나 증가했다. 글루코사민은 아미노당 (amino sugar)의 일종으로 연골, 피부, 머리카락, 손톱 등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고지방 식이로 사육한 동물실험 결과, CA 물김치를 음용수 대신으로 섭취시킨 쥐에서는 CA 무첨가 물김치보다 혈중의 총 지질은 26%, 중성지질은 70%가 각각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각각 21%와 23%가 감소하였고, 몸에 이로운 HDL-콜레스테롤은 23%가 증가하였다.

또, 급만성 간염이나 지방간 등으로 간 조직이 손상하면 그 활성도가 높아지는 AST (aspartate amino transferase)와 ALT (alanine amino transaminase) 활성은 CA 물김치 급여 군에서는 정상식이군 수준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이에 의한 간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간 조직 사진에서도 고지방식이 + 물 급여군은 간 지질세포에 포말형 또는 큰 소적형 지방 축적과 괴사 및 염증세포가 보이는 반면 고지방식이 + 나박 물김치 급여군은 소적형 지방이 감소되며, 간 실질세포의 형태가 잘 나타나 간세포 손상을 완화시킴을 볼 수 있다.

 

김순동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이채근 기자 mincho@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