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청양여행) - 국보 2점과 보물 5점을 간직한 칠갑산 장곡사
장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사지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850년(문성왕 12)에 보조선사가 창건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
이 절은 약간 경사진 땅 위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가람배치로 되어 있는데,
아래쪽에는 운학루·하대웅전·요사·주지실이 있고, 여기에서 돌계단을 50m 정도 올라가면
위쪽으로 상대웅전(보물 제162호)과 응진전이 있다.
상대웅전 안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철조약사불좌상부석조대좌(국보 제58호)와
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보물 제174호)가 나란히 봉안되어 있고,
하대웅전에는 고려시대의 금동약사불좌상(보물 제337호)이 있다.
- Daum 백과 (백과사전편찬위원회)에서 자료를 따옴 -
일주문
장곡사 가는 길 (칠갑산 솔바람길)
장곡사 가는 길 (칠갑산 솔바람길)
장곡사 가는 길
장곡사
범종루
운학루
장곡사
장곡사
장곡사
장곡사
심검당
설선당 (충남 유형문화재 제151호)
설선당은 원래 선방으로 지어졌다가 부엌칸 쪽 2칸은 더 달아내어 요사로서도 아울러 쓰게 하였다.
건립 연대는 하대웅전 건립 시기와 비슷한 17세기 초로 추정된다
하 대웅전(보물 제181호)
상대웅전 아래에 위치한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 평면구조는 앞면 3칸, 옆면 2칸이며 맞배지붕의 건물로
높은 축단 위에 세워져 있다. 기둥은 민흘림이며 기둥 사이에 공포를 짜올린 다포계 양식으로 되어 있는데,
건물의 좌우 옆면에도 창방과 평방을 마련하고 공포를 배치한 점이 특이하다
하 대웅전
금동약사불좌상 (보물 제337호)
하대웅전의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는 고려시대 금동불좌상. . 높이 88cm. 이 불상은 1955년 복장유물 조사에서 여러 경전과 함께
"至正六年丙戌六月十六日誌"라는 묵서명이 발견되어 1346년(충목왕 2)에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지장전
장곡사
장곡사
봉향각
장곡사
장곡사
장곡사
장곡사
상 대웅전
상 대웅전
상 대웅전
상 대웅전 (보물 제162호)
장곡사 경내의 언덕 위에 있는 고려시대 목조건물.
평면구조는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맞배지붕의 건물이나 근세에 들어와 개수했기 때문에 많이 변형된 것으로 짐작된다
소조아미타여래불
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 (보물 제174호)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초의 철불좌상. .높이 불신 61cm, 대좌 165cm. 이 불상은 높은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자세로 앉아 있는데
하체에 비해 상체가 약간 긴 편이어서 다소 어색한 느낌을 주며,전체적으로 짙은 호분이 칠해져 있어 세부표현이 명확하지 않다.
철조약사불좌상부석조대좌 (국보제58호)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 초기의 철불좌상. . 높이 불신 91cm, 대좌 141cm. 목조광배와 석조대좌를 갖춘 특이한 불상으로
현재 왼쪽 무릎과 양 손의 일부가 보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호분이 두껍게 입혀져 원래의 모습에서 많이 변형되었다
장곡사
삼성각
삼성각 앞으로 지나면 칠갑산 등산로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