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행 등 산 편/경상·북도 여행방

(영천여행) - 임고서원

무철 양재완 2016. 8. 30. 22:58





경상북도 기념물 제 62호인 임고서원은 포은 정몽주 선생을 기리기 위해

조선 명종 8년(1553)에 창건해 왜란 때 소실 되었다가 선조 36년(1603)에 중건됐다

고종 때 다른 서원과 함께 철폐되었다가 1965년 복원되었고

1990년 부터 성역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유문화재로는 임고서원 전적 (보물 제 1109호),

정몽주 영정 (보물 제 1110호), 은행나무 (기념물 제63호)가 있다





임고서원 - 송탑비



선죽교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 159호)

1392년 (조선 태조 즉위년) 정몽주가 후에 태종이 된 이방원 일파에게 피살된 장소이다

원래 선지교라 불렀는데 정몽주가 피살되던 날 밤 다리 옆에서 참대나무가 솟아나왔다 하여 선죽교로 고쳐 불렀다


선죽교 - 개성의 선죽교를 재현해 놓음



임고서원 은행나무 (경상북도 기념물 제63호)

높이 약 20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가 5.95m에 이르는 나이가 약 50년의 은행나무로서 생육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노거수이다



임고서원



임고서원 건물 배치도



임고서원 구서원



임고서원



임고서원



임고서원



임고서원의 정문인 누각 (영광루)



임고서원



임고서원



임고서원

강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임고서원 (동재, 서재)



임고서원 - 수성재



임고서원 - 강당에서 본 정문인 누각



임고서원 - 내삼문



임고서원 - 정몽주의 위패를 모산 사당 (문충사)



임고서원



임고서원



임고서원



계현재

포은 정몽주 선생의 선고이신 휘 운관공(云瓘公)의 제향을 모시는 재실


충효관



조옹대



조옹대



조옹대에서 본 임고서원



조옹대에서 본 임고서원



조옹대에서 본 선죽교



포은유물관



포은유물관



포은유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