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선생 건강법 - 만병통치, 중화탕(中和湯)과 화기환(和氣丸)
퇴계이황의 "활인심방"에서는 몸과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중화탕을 복용하라 권한다
중화탕이란 30가지의 약재를 달여 먹는 것이다
퇴계선생은 이 중화탕은 모든 병을 치료하며,
원기를 굳건히 보존하고, 나쁜 기운이 침범하지 못해
병이 생기지 않고 오래도록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명약으로 소개한다
무병장수 편하게 사는 법 다음은 중화탕의 처방 내용이다
思無邪(사무사) : 생각을 간사하게 갖지말 것 行好邪(행호사) : 좋은 일을 행할 것 莫欺心(막기심) : 마음에 속임이 없을 것 行方便(행방편) : 필요한 방법을 잘 선택할 것 守本分(수본분) : 자신의 직분에 맞게할 것 莫嫉妬(막질투) : 시기하고 샘내지 말 것 除狡詐(제교사) : 간사하고 교활하지 말 것 務誠實(무성실) : 성실히 행할 것 順天道(순천도) : 하늘의 이치에 따를 것 知命限(지명한) : 타고 난 명의 한계를 알 것 淸 心 ( 청 심 ) : 마음을 맑게, 깨끗이 할 것 寡 慾 ( 과 욕 ) : 욕심을 줄일 것 忍 耐 ( 인 내 ) : 잘 참고 견딜 것 柔 順 ( 유 순 ) : 부드럽게 할 것 謙 和 ( 겸 화 ) : 겸손하고 화목할 것 知 足 ( 지 족 ) : 주어진 조건에 만족할 줄 아는 것 廉 謹 ( 염 근 ) : 청렴하고 조심할 것 存 仁 ( 존 인 ) : 마음이 항상 어질 것 節 儉 ( 절 검 ) : 아끼고 검소할 것 處 中 ( 처 중 ) : 한쪽에 치우치지 말고 조화할 것 戒 殺 ( 계 살 ) : 살생을 경계할 것 戒 努 ( 계 노 ) : 성냄을 경계할 것 戒 暴 ( 계 폭 ) : 거칠게 행하지 말 것 戒 貪 ( 계 탐 ) : 탐욕을 경계할 것 愼 獨 ( 신 독 ) : 홀로 있을 때 더욱 삼갈 것 知 機 ( 지 기 ) : 사물의 기틀을 알 것 保 愛 ( 보 애 ) : 사랑을 견지할 것 恬 退 ( 염 퇴 ) : 물러서야 할 때 담담이 물러날 것 守 靜 ( 수 정 ) : 고요함을 지킬 것 陰 櫛 ( 음 즐 ) : 은연중에 덕이나 은혜를 쌓을 것
|
복용법은 다음과 같다
30가지 약을 잘 씹어 잘게 만든다. 마음의 물 한 근과
신장에서 나오는 물 두 대접을 써서
약한 불로 반이 되도록 연속해서 은근히 달인다
아무때나 따뜻하게 복용한다
또 급할 때 어느 곳에서든 혀 밑에 넣고 서서히 녹여 삼키면
즉효가 있다는 "화기환"이 있다
화기환은 단 하나의 약재로 구성이 되는데
바로 참을 "인(忍)"이 그것이다
출처 - 나라사랑
글쓴이 - 김성수(부산보훈병원 한의학박사)